기초영문법 일반동사 s붙이는 이유 그리고 사용법 (현재시제)
글이 아닌 영상으로 강의를 듣고 싶으시다면
아래 영상 시청 부탁드립니다.^ ^
https://tv.kakao.com/channel/3361886/cliplink/400591257
동사를 제압하는 자가 언어를 제압한다.
는 아니지만
그 만큰 영어에서 동사가 정말 중요합니다.
그 이유는 동사가 문장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죠.
기억하시죠?
영어의 기본적 문장 구조
주어 | 동사 | 목적어/ 보어 |
앞쪽 명사 (기준의 왼쪽) | 기준 | 뒤쪽 명사 (기준의 오른쪽) |
절대 잊지 말아 주세요.
무슨 말인지 모르시겠다면
아래 영상을 시청해주세요.
https://tv.kakao.com/channel/3361886/cliplink/404654696
이제 본격적으로 동사를 배워 볼 겁니다.
그렇다면 동사의 종류가 뭐가 있는지부터 알아야겠죠?
동사의 종류는
be동사
일반동사
조동사
이렇게 나눌 수 있습니다... 하지만...
조동사는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이라서
동사라고 할 수없습니다.
그러니 조동사는 일단 pass!!
사진에서 보이듯이 동사를 전체적으로 봤을 때
be동사 콩알만큼
조동사(동사가 아니지만)도 콩알만큼
그리고 나머지 전체를 일반동사로 부릅니다.
한 마디로
동사라고 하는데
be동사가 아니고
(be동사는 고작 6개)
조동사가 아니면
(조동사도 많아 봐야 10개)
다 일반동사입니다.
(일반동사 세려고 하면 세겠지만 몇 만은 되지 않을까 ㅎㅎㅎ 안 되려나?)
자 그럼 일반동사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
일반동사를 알아보기 전에
동사의 슈퍼파워가 하나 있는데
그게 바로
시제!!
현재 / 과거 / 미래
를 나타낼 수 있는 유일한 품사입니다.
그중에서 현재시제 먼저 배워보죠.
여러분들
eats 이거 단수일까요? 복수일까요?
's'가 붙어있으니 당연히 복수지!!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
eat는 '먹다'라는 뜻의 동사입니다.
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
['s'를 붙이면 복수]
이건 명사에 해당하는 말이죠.
자 그럼 일반동사에 s를 붙이면 뭐죠?
주어는 단수 주어 / 시제는 현재라는 것을 의미합니다.
I , You , 단수주어 | 동사원형 (원래모양) |
복수주어 | 동사s |
이 공식(?)은 꼭 외워주세요 ㅎㅎㅎ
일반동사 현재시제 공식!!
I, You, 복수 주어 다음에는 동사원형을 써주세요.
ex) I read books / You read books / Students read books.
그리고
단수 주어 다음에는 동사에 's'를 붙여주시고 써주세요.
ex) Mark reads books / She reads books...
여기서 잠깐
동사에 s를 그냥 붙이면 정말 좋은데
철자(spelling)에 따라서
조금씩 달라집니다.
이 부분이 궁금하시다면
아래 영상 참고해주세요.
https://tv.kakao.com/channel/3361886/cliplink/407236599
영어를 영작으로 배워보신 적이 있으신가요?
말만 들어도 어렵게 들리죠?
사실 영작을 먼저 배웠다면
독해보다 쉽다고 생각하실 겁니다.
제와 공부했던 많은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요.
나열되는 순서대로 단어만 잘 쓰면 끝입니다.
그 순서는
1. 주어
2. 동사
3. 목적어 혹은 보어
4. 나머지
그럼 OK
혹시 한국어에서 주어와 목적어 찾는 방법이 확실하지 않다면
아래 영상 참고해 주세요.
https://tv.kakao.com/channel/3361886/cliplink/404626481
영작이 되면 영어가 된다 막 선생님 막 영어
자 영작의 시간입니다.
펜과 종이를 준비해 주시고요.
영작하기 전에 순서 꼭 기억하세요
주어
(단수인지 복수인지 확인해 주시고요. 0.5초 컷)
동사
(동사는 무조건 시제 파악 후, 주어랑 수를 맞춰주셔야 합니다. 1초 컷)
목적어/보어
(be 동사 뒤에 있는 애들(명사/형용사)이 보어 그리고 거의 대부분 일반 동사 뒤에 있는 애들(명사)이 목적어입니다.)
그리고 나머지
(거의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아이들(부사)입니다)
이 문장들 너무 간단한가요?
너무 쉬웠나요?
원래 이렇게 시작하는 겁니다. ㅎㅎㅎㅎ
이러면서 조금씩 조금씩
틀리는 부분 잡아가고
실수를 줄이면서
익숙해지는 거죠. ㅎㅎㅎ
다음 포스팅은 일반동사 현재시제 부정문 / 의문문 만드는 방법입니다.
궁금하시면 구독 좋아요 부탁드려요 ㅎㅎㅎ
오늘은 여기까지 다음은 부정문과 의문문입니다.